역 사/우리땅 독도, 이어도

독도·동해 언급 안해…‘조용한 외교’ 재확인

leekejh 2011. 8. 16. 07:01

독도·동해 언급 안해…‘조용한 외교’ 재확인
[경향신문] 2011년 08월 15일(월) 오후 09:45   가| 이메일| 프린트
이명박 대통령은 15일 광복절 경축사에서 한·일 간 현안인 독도나 동해표기 문제를 비켜가며 ‘조용한 외교’ 원칙을 재확인했다. 남북관계에서는 “책임 있는 행동과 진정한 자세”를 강조하는 원론에 머물렀다.

이 대통령은 경축사에서 “일본은 미래세대에게 올바른 역사를 가르칠 책임이 있다”며 “그렇게 함으로써 한·일의 젊은 세대는 밝은 미래를 향해 함께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독도 영유권과 동해 표기 문제를 직접 거론치 않고 에둘러 넘어간 것은 ‘차분한 대응’ 위주의 대일 외교 기조를 유지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한나라당 홍준표 대표가 전날 ‘독도 해병대 주둔’을 언급하고, 앞서 이재오 특임장관이 울릉도·독도 방문 같은 자극적인 언행을 한 것과 대비되는 것이다.

대신 이 대통령은 “우리는 불행했던 과거에 얽매이지 않을 것이지만, 지난 역사를 우리 국민은 결코 잊지 않을 것”이라며 일본의 전향적 태도 변화를 촉구했다. 독도를 실효 지배하는 현실에서 국정 최고책임자가 나서서 언급하면 일본의 국제분쟁 지역화 전략에 말려들 것을 경계한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다만 김두우 청와대 홍보수석은 브리핑에서 “대한민국 대통령은 대한민국 영토를 언제든지 방문할 수 있다”며 “독도를 방문하는 게 아무 문제가 될 게 없다”고 했다. 광복절 현안인 독도 문제를 직접 거론하지 않았다는 일각의 지적을 염두에 둔 것으로 풀이된다.

대북 기조에는 현재의 ‘원칙 있는 대화’ 기조를 유지할 뜻을 명확히 했다. 이 대통령은 “대결의 시대를 뛰어넘어 ‘평화와 협력의 시대’를 열어야 한다”며 “도발을 통해 이룰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말했다. 다만 “어린이와 자연 재해 등에 대한 인도적 지원은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결국 취약층에 대한 민간단체의 밀가루 지원 승인과 대한적십자사를 통한 수해 지원만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병역 기자 junby@kyunghya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