낯선 땅으로 입양됐던 아이…佛내각 최고의 女정치인으로…
낯선 땅으로 입양됐던 아이… 佛내각 최고의 女정치인으로 …
생후 6개월만에… 佛 입양 양아버지는 핵물리학 박사
서울신문 2012. 05. 16
1974년 2월 어느 날 프랑스의 샤를드골 공항. 하얀 강보에 싸인 동양인 아기가 프랑스 여성의 가슴에 안겼다. 생후 6개월이었던 그 아기는 38년 뒤 프랑스인들이 부러워하는 최고의 여성 엘리트 정치인이 됐다. 문화·방송·디지털 경제 전문가로 새로 출범한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정부에서 입각이 유력시되는 플뢰르 펠르랭(39). 최고 수준의 엘리트 교육과정을 거쳐 성공한 여성의 아이콘으로 부상했다.
● 남들보다 2년 빠른 16세때 바칼로레아 합격
그녀는 1973년 8월 29일 서울에서 태어났다. 태어난 직후 거리에서 발견돼 고아원으로 보내졌고 6개월 뒤 프랑스에 입양됐다. 입양된 가정의 분위기는 지적이고 자유로웠다.
아버지 조엘은 핵물리학 박사로 국립과학연구소(CNRS ) 연구원으로 있으면서 핵안전청에서 일하다 개인 사업을 하고 있다. 엄마 아니는 인자하고 자상한 주부. 이들 사이에 두 아들이 있었지만 유전 질환으로 일찍 세상을 떠났다. 두 아들을 잃은 직후 한국에서 여자 아이를 입양했는데 어찌나 예쁘고 똘똘한지 이름을 플뢰르(프랑스어로 꽃)라고 지었다.
● 파리정치대학 졸업 등 여성 엘리트 종결자
펠르랭은 2년 월반을 해서 16세에 바칼로레아(대학입학자격시험)에 합격했고 명문 상경계그랑제콜 ESSEC(고등경영대학원·1994년 졸업)를 나왔다. 2000년 고위공무원 양성 학교인 국립행정학교(ENA)를 졸업했다. 졸업 성적이 상위 15% 이내에 들어 원하는 부처를 선택할 자격도 주어졌다. 재정 분야에 관심이 많았던 펠르랭은 감사원을 지망했다. 2002년 대선 당시 사회당 리오넬 조스팽 후보의 연설문안 작성에 참여하면서 정치에 발을 들여놓았다. 2007년 당적을 초월해 소수 인종 출신의 사회 진출을 지원하고 다양성을 존중하는 엘리트그룹 '21세기 클럽'에 들어가 2010년 회장에 선출됐다. 그해 파리정치대학(시앙스포)도 졸업해 프랑스 최고 엘리트 코스의 종결자가 됐다. 리베라시옹 등 프랑스 언론은 그녀를 일찌감치 눈여겨보았다. 피가로 매거진은 펠르랭을 '내일의 정치인 7인'의 한 명으로 꼽았을 정도다.
[서울신문] 함혜리 영상에디터 lotus@seoul.co.kr
‘입각 유력’ 올랑드 최측근 플뢰르 펠르랭 인터뷰
“ 디지털경제 주무장관 맡으면 韓·佛 IT신기술 협력 이끌것 ”
서울신문 2012. 05. 16
사회당 정권의 출범과 함께 현재 프랑스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한국계 입양인 플뢰르 펠르랭(39).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디지털 경제 특보로 종횡무진 활약해 입각이 유력시되는 펠르랭은 16일 서울신문과의 이메일 인터뷰에서 "출생 때문에 한국에 대해 특별한 감정을 느낀 적은 없다."면서도 한국의 정보기술(IT) 분야 발전과 한·프랑스 협력에 관심을 보였다. 다음은 펠르랭과의 이메일 인터뷰.
→ 올랑드가 승리한 이유는.
-승리의 결정적 이유는 프랑스인들이 무엇을 기대하는지 제대로 분석했기 때문이다. 프랑스인들은 기존 정치와 정부의 운영 방식에 식상했으며 변화를 진심으로 원했다. 그(올랑드)는 자신의 비전과 사회당의 정치적 가치를 중심으로 프랑스인들을 결집시키는 데 성공했다.
→강한 프랑스를 외치던 니콜라 사르코지가 연임에 실패한 원인은.
-사르코지 대통령 시절 나랏빚은 엄청나게 늘어나고 재정은 극도로 악화됐다. 실업률은 10%에 달했으며 사회적 불평등이 심화됐다. 경제상황이 우려할 수준으로 나빠진 것은 구조적 문제에서 기인한 게 아니라 집권 대중운동연합(UMP)당의 정책운용 방식이 잘못됐기 때문이었다. 올랑드가 통합의 메시지를 강조한 반면 사르코지는 극우파의 표를 얻기 위해 이민자를 희생양으로 삼아 사회 분열을 조장했다. 정치·사회적으로 부정적 결과를 낳았고 국민들의 반감을 사기에 충분했다.
→새 정부가 해결해야 할 가장 시급한 현안은.
-경제를 성장 국면으로 전환하는 것이 시급하다. 이를 통해 활력을 불어넣고 일자리를 창출해 심화된 사회적 불평등을 해소해야 한다. 또한 정치권의 신뢰 회복도 중요하다.
→사회당 집권이 프랑스 우경화에 제동을 걸 수 있을까.
-우리(사회당)가 국민과의 약속을 얼마나 지킬 수 있는지의 역량에 달려 있다. 즉 얼마나 공평한 사회 정의를 실현하는 정치를 하느냐의 문제다. 극우파인 국민전선(FN)의 약진이 의미하는 바는 매우 복잡하다. 정치와 사회, 경제 문제에 대한 우려의 표명이다. 새 정부는 바른 정당정치가 실현될 것이라는 믿음을 심어 줘야 한다.
→사회당을 택한 이유.
-2002년 대선 당시 리오넬 조스팽 사회당 후보 캠프에서 연설문 작성에 참여했고, 2007년 대선 때도 사회당에서 디지털 경제 전문가로 언론을 담당했다. 앞서 1997년 총선 때 사회당 지지자로 활동했으니까 정치에는 오래전부터 관심을 가져 온 셈이다. 사회당을 택한 이유는 간단하다. 좌파 성향이 강하고 진보적 가치를 매우 존중한다.
→특별히 관심 있는 분야는.
-문화, 커뮤니케이션 등 다방면에 관심이 있지만 재무, 기업의 가치 창출에 대해서도 관심이 많다. 이번 대선 캠프에서는 디지털 경제 특보였고, 신기술과 경제 통합 분야에도 관심이 있다.
→프랑스인이지만 한국 태생이다. 한국에 대해 어떤 감정을 느끼나.
-한국은 짧은 시간에 눈부신 경제성장을 이룬 놀라운 나라다. 정보기술(IT)을 비롯해 여러 분야에서 한국은 롤모델이 되고 있다. 태생 때문에 한국에 대해 특별히 다르게 느끼는 건 없다. 나는 외모는 동양인(한국인)이지만 사고 방식이나 행동 양식은 프랑스인이다.
→여권에 '종숙'이란 이름이 남아 있다.
-부모님은 내가 출생지를 잊지 않도록 본래 이름을 호적에 일부러 남겨 두었다. 종숙이라는 이름의 뜻이 '완성된 여자'라는 굉장히 특별한 이름이라고 알고 있었는데, 아주 평범한 이름이란 걸 알고 조금 실망했다. 솔직히 그 이름을 들여다보고 있으면 기분이 묘하다.
→낳아 주신 한국인 부모나 가족을 찾고 싶은지.
-한국의 가족을 찾고 싶다는 생각을 해 본 적은 없다. 나를 입양한 가족은 나에게 언제나 따뜻하고 큰 사랑을 주었으며 그들이 나의 진정한 가족이다.
→출생이나 외모가 달라 불이익을 당한 적은.
-나는 국가고시(콩쿠르)를 통해 공정하게 실력을 겨뤄 한 단계 한 단계 앞으로 나아갔다. 우수한 사람을 인정하는 것이 프랑스 사회이고, 그런 사회 분위기 속에서 차별을 느낀 적은 없다. 그러나 분명히 사회적 차별은 존재하며, 그것을 없애는 것이 나의 역할이라고 생각한다.
→입각한다면 한국과 협력할 의향은 있나.
-물론이다. 한국의 초고속 통신망이나 디지털 경제 시스템, 기술혁신에 대한 재정지원 시스템과 주식시장의 위기에 대한 정부 대응, 대학 및 기업과의 연구 협력 등에 관심이 많다. 올랑드 대통령이 나를 신기술과 관련된 분야의 각료로 기용한다면 한국을 방문해 이런 문제들을 논의하고 싶다.
[서울신문] 함혜리 영상에디터 lotu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