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거리/집 만들기 ( House )

1인 가구 증가, 집 크기 얼마나 작아졌나 봤더니…

leekejh 2012. 11. 15. 15:53

 

 

                                                                                                       세계일보
|  2012. 11. 15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현행 도시형생활주택중 원룸형의 최소 면적은 12㎡다.

그러나 내년부터 1인 중심의 주택 공급과잉을 예방코자

도시형생활주택중 원룸형 최소면적은 1인 가구 최소 주거면적인 14㎡로 상향 조정될 예정이다.

이처럼 주거 면적이 점차 초미니화 된 이유는

통계청이 올해 추산한 1인 가구만 해도 전체가구의 25.3% 수준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요즘 부동산 시장도 각양각색의 상품군들이 초소형을 지향하고 있다.

 

 

 

그렇다면 도시형생활주택·오피스텔·미니하우스 등 상품별 주거 면적은 어디까지 작아졌을까.

우선 도시형생활주택은 14㎡ 초소형 공급이 적잖다.

서울 구로구 오류동서 분양중인 '현대썬앤빌구로'는

도시형생활주택과 오피스텔 등 총325가구를 분양중이다.

초소형급으로만 공급하는 이번 물량중 가장 면적이 적은 도시형생활주택은 전용 14㎡다.

신림역세권의 '프라비다 트라움'도

도시형생활주택 130실과 오피스텔 27실 등 총157실을 공급중이다.

이 중 도시형생활주택의 공급 최소 면적은 14.05㎡다.

◆ 오피스텔 시장도 초소형이 대세


오피스텔 시장도 초소형이 대세다.

강남보금자리지구서 공급중인 '강남 2차 푸르지오 시티'(543실)의 가장 작은 면적은 18㎡다.

신세계건설이 짓는 광교 오피스텔 '더 로프트'도

전용 16.803㎡에 불과하지만 주방과 욕실·침실 등이 구비된다.

입주후 인테리어를 통해 복층 활용이 가능한 층고도 3.8m나 확보되었고 4층은 테라스(6.4㎡)까지 제공된다.

◆ 이동식 미니하우스도 '눈길'


이동식 미니하우스도 눈길을 끌고 있다.

㈜스마트하우스는 초미니 주택인 타이니2(17㎡)와 베이스캠프 (28㎡)를 공급중이다.

주로 농막 용도로 쓰이는 타이니2(17㎡)는

전기·수도·가스 등의 설치가 최근 허용되면서 취사?난방?샤워가 가능한 주거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캠프(28㎡)는 욕실과 주방·온수기·다락방 등도 있어 일반 주택과 다름이 없다.

주택으로 등기가 가능하여 재산상으로도 그 가치를 인정 받을 수 있다.

상가정보연구소 박대원 소장은

" 가족구성 세대 변화에 따라 요즘 초소형 부동산 상품은 꽤 주목률이 높다." 며

" 초소형은 규모가 작아 투자금도 저렴해 각광을 받고 있지만

  오피스텔·도시형생활주택 등은

  작은 규모를 커버할 수 있는 실용적 공간확보와 주차환경 등 보완적 상품력 구성 여부와

  소비력을 갖춘 안정적 수요가 뒷받침된 입지인지 꼼꼼히 살펴야 한다." 고 조언했다.

[세계닷컴] 김현주 기자 egg0love@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