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 사/사진으로 보는 역사 (국내)

박정희 前 대통령이 추진했던 수도 이전 계획서 36년 만에 공개

leekejh 2013. 2. 25. 22:51

 

      박정희 前 대통령이 추진했던 수도 이전 계획서 36년 만에 공개

 

                                                                                  한국일보 | 김현빈기자 |  2013. 02. 25

 

 

박정희 전 대통령이 추진했다가 무산된 수도이전 계획 보고서(사진)와 도면 등이 36년 만에 모습을 드러냈다.

행정안전부 산하 국가기록원

1977년 박정희 전 대통령에게 보고된 수도이전 백지계획 보고서를 25일 공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당시 수도 이전계획은 북한으로부터의 안보문제가 중시됐기 때문으로,

박 전 대통령은 새로운 수도의 입지조건으로

휴전선에서 평양보다 먼 거리인 70㎞이남, 해안선으로부터 40㎞가량 떨어진 곳을 선택하도록 지시했다.

 

당시 계획안은 두 가지였다.

새 수도의 모형으로 격자형 도로망을 주축으로 한 '계획형 도시'와

중앙광장 주변에 행정ㆍ업무ㆍ문화ㆍ예술 기능을 두고 그 주변에 주거지역을 배치한 '동심원형 도시'였다.

후보지로는 천안, 진천, 중원, 공주, 대평, 부강, 보은, 논산, 옥천, 금산 등 10곳이 선정됐다.

이 중 충남 공주군, 천안시, 논산군 등 3곳으로 후보지가 압축됐다가 공주 인근 장기지구가 최종 선정됐다.

 

백지상태에서 이상도시를 세운다는 의미의 '수도이전 백지계획'은

청와대 산하 실무기획단이 비밀리에 150여명의 국내외 전문인력을 투입해 2년여의 연구 끝에 마련됐다.

그러나 1979년 10ㆍ26사태로 박 전 대통령이 서거하면서 이 계획은 무산됐다.

김현빈기자 hbkim@hk.co.kr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행정수도 모형 1안인 격자형 도시계획안

 

 

           국가기록원, 박정희 대통령 수도이전 백지계획문서 공개

 

                                                                                                  매일경제 |  2013. 02. 25

 

 

국가기록원은 1977년 박정희 전 대통령에게 보고된 수도이전 백지계획 보고서를 25일 공개했다.

수도이전 백지계획은 백지상태에서 이상형 도시를 세운다는 의미다.

보고서는 청와대 산하 중화학공업추진위원회 실무기획단이

2년동안 150여명의 국내외 전문인력을 투입해서 만든 자료다.

그러나 1979년 10.26사태로 박 전 대통령이 서거하면서 계획은 무산됐다.

50페이지 분량 총괄보고서에는

수도이전 계획의 기조와 기본이념, 건설목표, 기본방향 등과 외국의 신수도 건설사례가 담겨 있다.

각론으로

수도의 도시기반시설, 교통체계, 주택건설, 상수도시설 등에 대한 하부계획 보고서 20여 권이 있다.

당시 수도 이전 배경으로는

△ 국토분단의 장기화 가능성

△ 북한의 무력적화 통일 기도시 서울 강점 가능성

△ 서울의 방위전략상 취약성 등 안보상의 필요성이 지적됐다.

보고서는 새 수도의 모형으로 격자형 도로망을 주축으로 한 '계획형 도시'와

중앙광장 주변에 행정, 업무, 문화, 예술 기능을 결합.배치하고

그 주변에 주거지역을 배치한 '동심원형 도시'를 제안했다.

박 전 대통령은 수도의 입지조건으로

휴전선에서 평양보다 먼 거리인 70km 이남,

해안선으로부터 40km 떨어진 곳을 선택하도록 지시했다고 한다.

이에 따라 후보지로 천안, 진천, 중원, 공주, 대평, 부강, 보은, 논산, 옥천, 금산 등 10곳이 선정됐다.

충남 공주군, 천안시, 논산군 등 3곳으로 후보지가 압축됐다가 공주 인근 장기지구가 최종 선정됐다.

김재순 국가기록원 연구관은

" 당시 비밀리에 세워졌던 계획은 굉장히 치밀한 자료." 라며

" 지금 현실에 적용해도 손색없이 보고서." 라고 말했다.

[정승환 기자]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