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추어 천문가가 집 뒷마당서 찍은 '초신성'
아마추어 천문가가 집 뒷마당서 찍은 '초신성'
서울신문2014. 10. 28
한 70대 아마추어 천문학자가 집 뒷마당에서 포착한 놀라운 우주 초신성 사진이 화제를 모으고 있다.
영국 일간지 데일리메일은 화학자이자 아마추어 천문학자인 에릭 콜스(70)
그의 집 뒷마당에서 잡아낸 아름다운 초신성 사진 이미지들을 27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콜스는 서로 다른 필터로 이뤄진 다섯 개의 천문 관측 망원경을
미국 일리노이 주(州)에 위치한 뒷마당에 설치해놓은 뒤
보통 육안으로는 확인하기 어려운 화려한 초신성, 백색왜성, 별 폭발 사진을 촬영해냈다.
일반적으로 별은 수명이 다할 때 평소보다 수억 배 밝은 빛을 뿜어내다가 서서히 낮아지는데
우리는 해당 단계를 '슈퍼노바'(supernova) 즉, 초신성(超新星) 단계라 부른다.
별이 진화되는 가장 마지막 단계임에도 '초신성'이라는 명칭이 붙은 이유는
순간적으로 폭발하는 모습이 마치 새로 태어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보통 초신성 단계에 이르기 전, 별들은 항성진화의 마지막 단계인 백색왜성(white dwarf)이 된다.
이는 항성이 표면 물질을 우주공간으로 방출한 뒤,
남은 물질들이 융합돼 형성되는 청백색의 별로 질량은 태양의 1.4배 이하, 크기는 지구와 비슷하다.
만일 인근에 거성이 존재한다면
이와 핵융합 반응을 일으키다 거성 쪽으로 항성 물질이 유입되며 초신성 폭발이 나타나게 된다.
특히 천문학계에서는 초신성 현상에서 파생되는 잔해물질에 큰 관심을 갖고 있는데
그 이유는 해당 잔해에 우주형성 과정의 비밀이 담겨 있는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학계에서는 우주생성 초기부터 현재까지
우주 중원소량을 증가시킨 주요 원인이 초신성 폭발 때문으로 보고 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조우상 기자wscho@seoul.co.kr
http://media.daum.net/photo/2773/#201410281017144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