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야욕의 상징' '조선총독부 청사 설계 치밀했다… 상세도면 공개
조선총독부 청사 상세도면 공개… 1995년 철거 한국일보 김정우기자 입력 2013.01.08
일제 식민통치의 중추기관이었던 조선총독부 청사(옛 중앙청). 해방 이후 '식민잔재의 표상'이라는 논란을 빚다 광복 50년 만에 결국 철거돼 역사 속으로 사라진 이 곳의 신축 당시 모습이 담긴 도면이 일반에 공개됐다.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은 조선총독부 청사와 치안시설 등의 건축도면과 설명을 수록한 '일제시기 건축도면 해제 6'을 발간했다고 8일 밝혔다.
↑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이 발간한 '일제시기 건축도면 해제 6'(사진 위). 책 안에는 조선총독부 청사와 치안시설 등의 건축도면과 설명이 수록되어 있다. 아래는 조선총독부 중앙홀 북면도. 국가기록원 제공
이 책에 실린 조선총독부 청사의 외부입면 상세도, 중앙홀 입면 상세도(왼쪽 사진), 총독실 설계도 등을 보면 청사 내ㆍ외부가 매우 세밀하고 화려하게 설계돼 있음을 알 수 있다. 일제가 식민통치의 위엄을 과시하고자 청사 입지(경복궁 내)뿐만 아니라 내부 설계, 공간 구성도 매우 치밀하게 계획했음을 보여준다는 게 기록원의 설명이다.
본관 이외에 기관실 등 부속건물과 별관들에 대한 도면도 함께 수록돼 청사의 전모와 신축 이후의 운영상황도 엿볼 수 있다. 1926년 완공된 조선총독부 청사는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도 대통령 집무실과 정부 청사, 국립중앙박물관 등으로 쓰이다 95년 철거됐다.
일제 강점 초기 치안체계 확립의 핵심이었던 전국의 경찰서가 표준화된 도면으로 건축됐다는 사실도 해제집을 통해 드러났다. 1910년 99곳이었던 경찰서가 1920년 244곳으로 대폭 증가한 것은 전 지역에 등급별ㆍ시기별로 공통의 도면(오른쪽 사진)이 활발히 사용됐기 때문이라고 기록원은 밝혔다. 광화문 앞 조선시대 육조거리에 입지했던 경찰관강습소, 경기도 순사교습소, 조선시대 어의궁(현 서울경찰청) 자리에 들어선 피복창고 등 치안지원시설의 도면도 함께 실렸다.
이번에 발간된 해제집은 국ㆍ공립 도서관과 관련 학계에 배포되며, 국가기록원 나라기록포털(contents.archives.go.kr)을 통해 인터넷으로도 볼 수 있다.
김정우기자 wookim@hk.co.kr
관련기사
'역 사 > 사진으로 보는 역사 (국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근혜 대통령 방독, 50년전 박정희·육영수 부부가 찾은 독일은.. (0) | 2014.03.23 |
---|---|
박정희 前 대통령이 추진했던 수도 이전 계획서 36년 만에 공개 (0) | 2013.02.25 |
최초의 우리말 어린이신문 ‘붉은 저고리’ (0) | 2013.02.25 |
1931년 신문에 나온 커피 관련 기사 (0) | 2012.11.02 |
남의 대리시험 때문에 장원급제 날린 사연 (0) | 2012.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