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이 아닌 과거, 미래를 여행하는 시간여행은 H. G. 웰스의 소설 [타임머신]에서부터, 영화 [백 투더 퓨처] 시리즈까지 SF물의 단골 소재로 우리에게 아주 익숙한 개념이다.
그렇다면, 허구가 아닌 실제에서 시간여행은 어떨까? 시간여행은 어떤 방법으로 가능할까? 불가능하다면 이유는 무엇일까?
과거로 또 미래로 떠나는 시간여행 방법 6가지를 살펴본다. |
시간여행, 얼마나 가능한가?
1949년 수학자 쿠르트 괴델(Kurt Gödel, 1906~1978)은 ‘회전하는 우주’ 모형을 고안했다. 이 우주의 시공간은 물질 분포에 의해 크게 휘어 닫힌곡선을 이룬다. 빛은 순환하는 부메랑 같이 움직인다. 빛에 가까운 속도로 달려 부메랑의 경로를 직선으로 가로지르면 빛을 앞지를 수 있다. 이를 시간여행에 활용하면 과거와 미래로 갈 수 있다. |
아이디어의 기원
아인슈타인의 장 방정식은 질량을 가진 물체 주변의 시공간이 어떻게 구부러지는가를 표현한 것이다.
전체 우주의 질량분포로부터 우리가 살고 있는 우주의 구조와 진행 상태를 알 수 있다.
이때 우주상수의 크기와 물체의 분포 및 상태를 바꾸면 다양한 우주 모형을 만들 수 있다.
괴델의 회전하는 우주도 그 중 하나다.
괴델의 우주는 아주 큰 우주상수가 있고 우주 전체가 회전하고 있다는 가정을 담았다.
이 우주에서는 시간여행이 가능하다.
일반상대성이론을 통해 계산해낸 우주인만큼 인과율을 제외하면 이론적인 모순이 없다.
괴델은 시간여행에 필요한 정확한 우주선의 속도와 연료, 거리와 시간까지 계산했다.
아직은 불가능한 이유
아쉽게도 우리는 괴델의 회전하는 우주에 살고 있지 않다.
관측에 따르면
은하는 서로 멀어지고 있으며, 이는 우주가 팽창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 준다.
그리고 만약 우주가 괴델의 우주처럼 빠르게 회전하고 있다면
우주 마이크로파의 배경복사의 온도가 계속 변하겠지만, 이런 현상은 관측되지 않았다.
괴델의 회전하는 우주에서는 빛이 부메랑처럼 곡선을 이루며 휜다.
직선인 지름길로 빛보다 빠른게 간다면 과거로 갈 수 있다.
5. 반입자 도플갱어
반입자를 이용한 시간여행이 있다.
이 방법은 아주 우연히 가능하다.
먼저 잘 계획된 ‘시간여행자-반시간여행자’ 짝이 수천 개의 수소폭탄에너지에서 생성돼야 한다.
반대 되는 성질의 두 시간여행자는 원자수준까지 정확히 복제돼야 한다.
반시간여행자는 시간을 뒤로 여행하고, 시간여행자는 앞으로 여행한다.
그리고 반시간여행자는 다시 시간여행자를 만나야 한다.
반시간여행자 속의 각 입자가 시간여행자 속의 대응되는 입자와 부딪혀 소멸한다.
이때 생성하는 에너지에 의해 시간여행자의 몸이 찢기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아이디어의 기원
영국의 물리학자 폴 디랙(Paul Dirac, 1902~1984)은
1928년 수소원자의 상대론적 양자이론을 발표하면서 전자에 대한 반입자가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1932년 미국의 물리학자 칼 앤더슨(Carl Anderson, 1905~1991)은
실제로 우주에서 날아온 전자의 반입자(양전자)를 발견했다.
존 휠러(John Wheeler, 1911~2008) 프린스턴대 교수는
반입자를 이용하면 과거로 여행하는 전자를 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
훨러는 우주의 모든 전자가 시간의 앞뒤로 여러 번 오갈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다.
리처드 파인만(Richard Feynman, 1918~1988)은
시간을 거슬러 과거로 올라가는 입자를 관측할 때, 이 입자는 반입자로 보인다고 해석했다.
그렇다면 입자와 반입자가 부딪쳐서 사라지는 것은
입자가 진행 방향을 바꿔 과거로 되돌아갔다고 생각할 수 있다.
입자와 반입자가 언제나 쌍으로 생기는 것은
과거로 거슬러 올라간 입자가 시간의 방향을 뒤집어서 미래로 나아가기 때문이다
아주 운이 좋아 내가 입자와 반입자로 나뉜다면 반입자인 나는 과거로 간다.
물론 보고 온 과거를 다시 보려면 다시 한 번 운이 좋아야 한다
아직은 불가능한 이유
이 아이디어가 성공하려면 어느 시점에서 우주 내의 양전자와 전자의 수가 거의 같아야 한다.
아쉽게도 현재는 우주에 양전자보다 전자가 훨씬 더 많이 있다.
또 입자와 반입자가 만나 소멸할 때 에너지가 나오는 데 이 에너지를 시간여행자가 버틸 가능성은 없다
6. 우주끈 히치하이킹
우주선을 타고 지구를 출발해 목적지 행성으로 향한다. 보통 지구에서 직선코스로 향하는 것이 최단경로지만, 우주끈 주위에는 공간이 떨어져 있으므로 광속으로 향해 가는 우주끈 A의 옆을 도는 쪽이 거리가 짧아진다. 우주선은 우주끈의 경로로 빛에 가까운 속도로 목적지로 향한다. 그러면 지구에서 목적지까지 똑바로 나아가는 빛보다 빨리 도착할 수 있다. 목적지에 도착해 지구를 보면 아직 출발하기 전의 우주선이 보인다. 또 반대로 지구로 돌아오는 우주끈 B의 옆을 돌아 지구로 오면 지구를 출발하려는 자기 자신을 만날 수 있다.
아이디어의 기원 리처드 고트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가 제안한 시간여행이다. 우주끈은 길고 얇은 물체로 우주생성 초기 물질들이 시공간의 구조에서 끈의 모양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시공간의 다른 영역들이 상변이를 겪을 때 두 영역 사이의 경계에서 형성된다. 이는 마치 액체가 응고될 때 결정 알갱이 사이에 형성되는 경계나 물이 얼음으로 변할 때 형성되는 갈라진 틈과 비슷하다. 아주 무한히 긴 두 개의 우주끈이 서로 아주 빠르게 움직인다면 그 주위에서 시간여행을 할 수 있는 영역이 생긴다. 두 끈이 서로 지나치면서 시공간은 심하게 왜곡된다. 시간여행 우주선은 쌍을 이룬 두 끈의 주위를 비행하면서 이런 시공간의 왜곡 현상을 이용한다. 타이밍을 잘 맞춰 시공간의 왜곡에 올라타면 과거로 시간여행을 할 수 있다.
우주끈은 공간을 왜곡해 지름길을 만든다.
이 지름길을 이용하면 과거로 갈 수 있다
아직은 불가능한 이유
다른 모든 것이 가능하다고 하자.
아직 관측되지 않은 우주끈도 있다고 하자.
그런데 과거로 시간여행이 가능하려면
질량이 1cm당 1경t이며
빛의 속도의 99.999999996% 이상으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무한히 평행한 두 우주끈이 존재해야 한다
시공간이 떨어져 있는 두 지점을 연결하는 웜홀이라는 특별한 시공간 구조를 이용하면
과거로 돌아갈 수 있을 것이다.
<출처: (CC)Alain r at wikipedia.org>
발행일
출처 : 네이버캐스트
'기 타 > 신비한 우주의 세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주에서 발견된 "또 다른 지구" (0) | 2011.12.07 |
---|---|
빅 뱅 (0) | 2011.12.06 |
우주가속팽창의 발견 (0) | 2011.11.08 |
1조 망원경 포착 사진, "7천만 광년 먼 은하도 생생 촬영" (0) | 2011.10.14 |
[동영상] 태양계 밖 ‘또 하나의 지구’ 글리제 581g (0) | 2011.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