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동의 현대사 지켜본 `평생기자' 김성진>
연합뉴스 2009. 09. 17
(서울=연합뉴스) 김재현 기자 = 17일 타계한 김성진 전 문화공보부 장관은 격동 현대사를 현장에서 목도한 역사의 산증인이었다.
현장 뉴스를 시시각각 타전하는 통신사 기자로 출발, 박정희 정부의 대변자를 거쳐 20세기 한국정치를 생생하게 기술한 글을 남길 때까지 한평생 펜과 원고지를 놓지 않았던 타고난 언론인이기도 했다.
고인은 생전 `박정희의 입'으로 불릴 만큼 박 전 대통령과는 떼려야 뗄 수 없는 사람으로 기억된다.
1970년 동양통신 정치부장으로 재직할 때 청와대 공보비서관이 된 뒤로 청와대 공보수석과 대변인에 이어 문화공보부 장관으로 재직하면서 1979년 박 전 대통령이 궁정동 안가에서 김재규 중앙정보부장의 흉탄을 맞고 서거할 때까지 박 전 대통령과 지근거리에서 조국근대화의 위업을 국민에게 전달하는 `게이트 키퍼' 역할을 했다.
박 전 대통령 서거 다음날인 10월27일 오전 7시20분, 그가 정부 대변인 자격으로 국민 앞에 나서 "박정희 대통령이 총탄에 맞아 서거했다"는 발표문을 눈물로 읽어내려갔던 모습은 장년층 이상에게는 아직도 뇌리에 선명하게 남아있다.
10.26 이후 김 전 장관은 동양통신에 이어 연합뉴스의 전신인 연합통신 사장으로서 언론계에 복귀한 뒤로 국제언론인협회(IPI) 한국위원장으로 활약하는 등 언론인의 본업에 다시 충실히 임하기도 했다.
언론계를 떠난 후 9년간에는 삶의 궤적을 함께 했던 박정희 시대의 진실을 알리는 데 힘썼다.
2006년 8월에 펴낸 `박정희를 말하다'에서 그는 10.26 사태를 "이후락, 김재규, 차지철, 박종규 등 과잉 충성분자들이 2인자 자리를 노리고 선택한 강경노선이 끝내 암살까지 이어진 것"으로 정의했고, 김대중, 노무현으로 이어진 좌파 10년에는 보수진영의 애국운동에 적극적으로 나서기도 했다.
좌우파 세력들이 맞선 2007년 대선을 "박정희를 평가하는 종점이 될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그는 권력자 박정희에 대해서는 `독재자', `반(反) 민주주의자'일 수도 있지만 `자주, 자립, 자위, 자강, 자존주의자'로 규정하는 등 언론인으로서의 자존과 냉정을 잃지 않았다. 평생 공부하는 기자로서 언론과 문화계에 뚜렷한 족적을 남겼다.
연합통신 초대 사장으로 83년까지 4년간 재임하면서 서울언론재단 이사장, 한국국제문화협회 회장, 아시아공연예술진흥연맹 회장을 역임하며 언론 발전에 앞장섰다.
문화계에서는 특히 문공부 장관 시절 박 대통령의 숙원사업이었던 고적 발굴 등 문화재 발굴.복원을 주도해 고전문화 계승과 창달에 기여한 점이 높게 평가받고 있다.
고인은 문공부 장관 시절 역사 유적 보수와 정화사업 등 `문예중흥 5개년 계획'을 진두지휘했다. 이런 공로로 국가로부터 청조근정훈장을 받기도 했다.
아울러 싱가포르 대사를 지내는 등 외교관으로서도 수완을 발휘해 세네갈과 가봉공화국으로부터도 대훈장을 받았다.
현장 뉴스를 시시각각 타전하는 통신사 기자로 출발, 박정희 정부의 대변자를 거쳐 20세기 한국정치를 생생하게 기술한 글을 남길 때까지 한평생 펜과 원고지를 놓지 않았던 타고난 언론인이기도 했다.
고인은 생전 `박정희의 입'으로 불릴 만큼 박 전 대통령과는 떼려야 뗄 수 없는 사람으로 기억된다.
박 전 대통령 서거 다음날인 10월27일 오전 7시20분, 그가 정부 대변인 자격으로 국민 앞에 나서 "박정희 대통령이 총탄에 맞아 서거했다"는 발표문을 눈물로 읽어내려갔던 모습은 장년층 이상에게는 아직도 뇌리에 선명하게 남아있다.
10.26 이후 김 전 장관은 동양통신에 이어 연합뉴스의 전신인 연합통신 사장으로서 언론계에 복귀한 뒤로 국제언론인협회(IPI) 한국위원장으로 활약하는 등 언론인의 본업에 다시 충실히 임하기도 했다.
언론계를 떠난 후 9년간에는 삶의 궤적을 함께 했던 박정희 시대의 진실을 알리는 데 힘썼다.
2006년 8월에 펴낸 `박정희를 말하다'에서 그는 10.26 사태를 "이후락, 김재규, 차지철, 박종규 등 과잉 충성분자들이 2인자 자리를 노리고 선택한 강경노선이 끝내 암살까지 이어진 것"으로 정의했고, 김대중, 노무현으로 이어진 좌파 10년에는 보수진영의 애국운동에 적극적으로 나서기도 했다.
좌우파 세력들이 맞선 2007년 대선을 "박정희를 평가하는 종점이 될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그는 권력자 박정희에 대해서는 `독재자', `반(反) 민주주의자'일 수도 있지만 `자주, 자립, 자위, 자강, 자존주의자'로 규정하는 등 언론인으로서의 자존과 냉정을 잃지 않았다. 평생 공부하는 기자로서 언론과 문화계에 뚜렷한 족적을 남겼다.
연합통신 초대 사장으로 83년까지 4년간 재임하면서 서울언론재단 이사장, 한국국제문화협회 회장, 아시아공연예술진흥연맹 회장을 역임하며 언론 발전에 앞장섰다.
문화계에서는 특히 문공부 장관 시절 박 대통령의 숙원사업이었던 고적 발굴 등 문화재 발굴.복원을 주도해 고전문화 계승과 창달에 기여한 점이 높게 평가받고 있다.
고인은 문공부 장관 시절 역사 유적 보수와 정화사업 등 `문예중흥 5개년 계획'을 진두지휘했다. 이런 공로로 국가로부터 청조근정훈장을 받기도 했다.
아울러 싱가포르 대사를 지내는 등 외교관으로서도 수완을 발휘해 세네갈과 가봉공화국으로부터도 대훈장을 받았다.
연합뉴스 관련기사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연합뉴스 실시간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봉급쟁이 세금 덜 내지만 연말공제 혜택도 축소 2012-09-10 14:06
- 근소세 원천징수 줄이고 車ㆍ가전 개소세 인하 2012-09-10 11:00
- 승용차값 얼마나 싸지나…쏘나타 48만원↓ 2012-09-10 13:59
- 아동·청소년 강간범 최고 무기징역 가능케 된다 2012-09-10 11:55
- 검찰, 정두언 의원 '저축은행 수수혐의' 불구속 기소 2012-09-10 14:24
- 김성진 前 문공부 장관 별세 한국일보
- 김성진 前장관 빈소에 조문발길 이어져 연합뉴스
- 서울 중구 오피스 상가 YG타워 푸드코트 분양 헤럴드경제
- <격동의 현대사 지켜본 `평생기자' 김성진>(종합) 연합뉴스
- ‘박정희의 입’ 김성진 전 장관 별세 한겨레
- 김성진 전 문공부장관 별세 연합뉴스
- 김성진 前 장관 별세 서울경제
- 평당550만원, 34평 전세금으로 내집마련 기회 헤럴드경제
- 김성진 전 문화공보부 장관 별세 뉴시스
- 출산양육지원센터 운영 협약 헤럴드경제
- 김성진 前 문화공보부 장관 17일 지병 별세 뉴스엔
- 이기환 서울소방재난본부장 직급상향 첫 소방정감 승진 헤럴드경제
'역 사 > 사진으로 보는 역사 (국내)'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31년 신문에 나온 커피 관련 기사 (0) | 2012.11.02 |
---|---|
남의 대리시험 때문에 장원급제 날린 사연 (0) | 2012.09.24 |
명성황후 추정 사진 경매 나온다… 1945년 발간 ‘한국말년사’에 수록 (0) | 2012.09.10 |
100년 전 그대로… '자주외교' 혼 배어 있는 듯 (0) | 2012.09.10 |
<뉴질랜드 참전용사의 눈에 비친 50년대 한국> (0) | 2012.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