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SA, 안드로메다서 26개 블랙홀 발견
지디넷코리아 임민철 기자 2013. 06. 18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안드로메다 은하에서 블랙홀 26개를 발견했다고 최근 밝혔다.
기존 발견된 블랙홀은 9개다.
NASA는 공식 자료를 통해
" 새로 발견된 블랙홀 대부분은 태양 질량 10배 규모의 거대한 별이 죽어 생긴 것으로 보인다." 고 설명했다.
발견된 26개의 천체는 '블랙홀 후보(candidates)'로 표현됐다.
블랙홀로 완전히 판명된 건 아니란 뜻이다.
블랙홀을 찾아내려면
그리 빨려들어가는 주변 물질이 내보내는 빛을 통해 간접적으로 그 존재를 추정해야 한다.
블랙홀 스스로 빛을 반사하지 않기 때문이다.
NASA는 블랙홀 주변에서 방출되는 X선을 포착, 연구하기 위해
13년간 '찬드라X선 우주망원경'을 150대 넘게 동원했다고 밝혔다.
▲ 미항공우주국(NASA)에서
지난주 안드로메다 은하의 블랙홀로 추정되는 천체가 26개나 무리지어 있는 모양을 발견했다.
우리 은하 밖에서 이렇게 많은 블랙홀이 발견된 전례가 없다고 NASA 쪽은 설명했다.
연구를 주도한 미국 매사추세츠 캠브리지의 하버드스미소니언 천체물리연구원 소속인 로빈 버나드는
" 우리가 안드로메다에서 많이 찾아냈다고 여기는 블랙홀도 실은 빙산의 일각." 이라며
" 대부분의 블랙홀은 모여있거나 우리에게 보이지 않는다." 고 말했다.
블랙홀 후보는 별의 질량에 따라 분류된다.
이는 죽기전 엄청나게 거대한 별로 부풀어올라
통상적으로 우리 태양의 5~10배 크기에 달하는 형태를 거쳤다는 뜻이다.
천문학자들은 이런 천체가 보이지 않는 블랙홀로 바뀌기 전
인근 별에서 물체를 끌어당기고 복사에너지를 발산하는 모습을 관측할 수 있다.
26개 블랙홀 발견, 안드로메다에만 35개..상상 불가
서울신문 2013. 06. 18
새로운 블랙홀 26개가 발견돼 관심을 모으고 있다.
지난 13일(현지시각) 미국 항공우주국(나사)에 따르면
안드로메다에서 새로운 블랙홀 26개가 발견됐다.
이에 안드로메다에서 발견된 블랙홀은
기존에 있던 9개에 26개가 더해져 총 35개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블랙홀 수는 한 은하계내에서 최고수준이다.
나사는 앞서 찬드라 X선 우주 망원경을 이용해 추가로 26개의 블랙홀 후보를 발견한 것으로 전해졌다.
나사측은
" 이번에 새롭게 발견된 블랙홀은
우리 태양 질량의 10배에 달하는 규모의 거대한 별이 죽으며 생겨난 결과." 라고 밝혔다.
사진= 미 항공우주국 (26개 블랙홀 발견)
[서울신문 BOOM] 뉴스팀 boom@seoul.co.kr
지디넷코리아 관련기사
26개 블랙홀 발견, 역대최다 불구 美전문가 "빙산의 일각에 불과"
이데일리 정재호 2013. 06. 18
나사(NASA)는 지난 13일 보도자료를 통해 지구가 속한 은하와 이웃한 안드로메다 갤럭시(은하)에서 새로운 블랙홀이 26개나 무더기로 발견됐다고 발표했다.
나사는 이번 26개 블랙홀 발견을 위해 찬드라 X-레이 망원경을 사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블랙홀은 빛을 전혀 발산하지 않기 때문에 직접 관찰할 수는 없어 이 같은 첨단장비가 필요했다.
26개 블랙홀 발견이 미 항공우주국(NASA)에 의해 공식 확인됐다.
전문가에 따르면 이는 빙산의 일각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 사진은 해당기사와 무관함 >
그나마도 블랙홀로 빨려드는 주변 물질이 내는 빛을 통해 간접적으로 블랙홀일 거라고 추정하고 있다. 특히 이번처럼 작은 블랙홀의 경우 잡아내기가 무척이나 어렵다.
이 현상을 포착하기 위해 동원된 찬드라 우주 망원경만 150대에 달했다. 조시기간 역시 13년에 걸친 방대한 작업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블랙홀 26개 발견은 지구 은하계를 벗어난 다른 은하계에서 발견된 사례 중 역대 최다라고 나사는 설명했다. 종전 9개를 포함해 총 35개가 확인됐다.
NASA는 "이번에 새로 발견된 블랙홀 대부분은 우리 태양 질량의 10배에 달하는 규모의 별이 죽어서 생겨난 것이다"고 말했다.
매사추세츠주 캠브리지의 하버드-스미소니언 센터의 보린 바나드 천체 물리학자는 "사람들은 안드로메다에서 발견된 수많은 블랙홀에 흥분하지만 사실 이는 빙산의 일각(tip of the iceberg)에 불과하다고 생각한다"면서 "대부분의 블랙홀은 근접해 붙어있지 않고 우리들의 눈에는 보이지도 않는다"고 말했다.
즉 블랙홀 26개 발견을 신호탄으로 앞으로 얼마나 크고 다양한 블랙홀이 추가로 나올지는 짐작조차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데일리 e뉴스 정재호 기자] 정재호 (kemp@edaily.co.kr)
관련기사
- 26개 블랙홀 발견..NASA의 공식발표 조선비즈
- 안드로메다 은하서 블랙홀 26개 무더기 발견 노컷뉴스
- 26개 블랙홀 발견, 태양의 10배 '거대한 별'이 죽어 생긴 것 한국일보
- 26개 블랙홀 발견, "태양 질량 10배의 거대한 별이 죽어 만들어진 것" 조선일보
- NASA, 안드로메다 은하서 26개 블랙홀 발견 한국경제
- 블랙홀 26개 무더기 발견.."거대한 별 죽은 결과" 중앙일보
- NASA, 26개 블랙홀 발견.."빙산에 일각에 불과" OSEN
- 26개 블랙홀 발견, 역대 최대규모 "지구와의 거리는?" SBS CNBC
- 26개 블랙홀 발견, 태양 10배 크기 별 죽은 결과..역대 최대 규모 동아일보
- 26개 블랙홀 발견, '태양 10배의 별이 죽은 결과.. 총 35개' 파이낸셜뉴스
- 블랙홀 26개 추가 발견..13년 동안 망원경 150대 동원 세계일보
- 26개 블랙홀 발견, '은하계 내 최고 수준' 디지털타임스
'기 타 > 신비한 우주의 세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0억년 전 '타원은하'의 비밀은? (0) | 2013.06.23 |
---|---|
별 탄생의 비밀 밝히다 (0) | 2013.06.23 |
NASA가 공개한 천상의 새 (0) | 2013.06.23 |
국내에서 별을 가장 오래 관측… '보현산 천문대' 전영범 박사 (0) | 2013.05.16 |
'별 진화과정은?'..기존이론 뒤집는 연구결과 나왔다 (0) | 2013.04.29 |